상속증여세 절세

2주택자인데, 상속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두꺼비 세금 상담소_이장원 세무사 2024. 11. 25. 17:00

좀더 자세한 인사이트를 알고 싶다면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두꺼비 세금 상담소' 구독을 통해서 얻어가실 수 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tax963/taxconsulting

 

두꺼비 세금 상담소_이장원 세무사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대면 세금 상담 요청이 너무 많은데 몸이 하나여서 한계를 느끼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께 세금 상담을 드려야겠다는 생각에 대면 상담을 줄이고,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를 통해 고민을 해결해

contents.premium.naver.com


안녕하세요. 려울 때 내보는 법, 두꺼비 세무사 이장원입니다.

두 자녀를 둔 2주택자, 어떻게 증여하고 상속하면 좋을까요?

재산을 자녀에게 증여 및 상속할 때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들, 정리해 드립니다.



주택 증여가 나을까, 상속이 나을까?

혹은 주택 팔아 현금성 자산을 증여, 상속하는 것이 더 좋을까?

아마 많은 고민들이 있으실 것입니다.

우선 해당 사연에서는 주택의 가액이 어느정도인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답변은 어려운 점을 미리 안내 드립니다.

개인마다 받을 수 있는 공제액수가 상이한데, 만약 상속재산이 이러한 공제액수보다 적은 상황이라면 증여보다는 상속하는 것이 낫습니다.

주택을 직접 양도하고 현금성 자산으로 상속하는 것과 주택 그 자체를 상속하는 것 중 절세 측면에서 무엇이 유리할지를 질문해 주셨습니다.

상속재산이 커질수록 세금은 더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오로지 절세 측면에서만 말씀드리면 주택 매각 후 현금으로 상속하시는 것이 낫습니다.

주택을 매각하게 되면 자산가치가 더이상 상승하지 않고, 현금으로 상속하게 되면 금융재산상속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급하지 않은 상황이고, 주택의 가치가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주택을 계속 보유하다가 상속세를 납부하고 가져가는 편도 고려해 볼만하겠습니다.

또한, 가격이 잘 오르지 않는 주택은 매각하여 가격이 오른 주택의 상속재원으로 사용하는 등의 방법을 채택할 수 있겠습니다.

다음으로, 상속 개시 시 과거 10년치 계좌 내역을 조사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여쭤보셨는데요.

과세관청에서는 상속이 발생하게 되면 피상속인 (사망자)의 과거 계좌내역 10년치를 전부 조사하여 사전증여재산을 파악하게 됩니다.

만약 피상속인 A씨가 자녀 B씨에게 9년 전 재산을 증여해 주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당시 증여로 10%의 낮은 세율의 증여세를 납부하였습니다.

A씨 사망 이후, 과세관청에서는 A씨의 10년치 계좌 거래내역을 모두 조사하는데요.

이때 상속인에게는 10년간 증여한 재산을, 상속인 이외의 자에게는 5년간 증여한 재산을 모두 상속재산에 얹어 계산하게 됩니다.

A씨가 사전에 보유하고 있었던 주택들 때문에 50% 세율구간의 상속세가 발생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렇다면 9년 전에 A씨가 자녀 B씨에게 증여했던 내역을 토대로, 이를 사전증여재산으로 간주하여 B씨에게 당시 납부하지 않았던 40%의 세금을 납부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증여세가 고액이라서 쉽게 증여를 결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10년간 자녀에게 줄 수 있는 증여재산공제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식을 채택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성인 자녀라면 10년간 5천만원까지, 미성년 자녀라면 10년간 2천만원까지 현금성 자산을 증여하셔서 마중물을 마련해 주시는 편을 추천드립니다.

이를 토대로 자녀가 자산을 불려 추후 20억짜리 주택을 증여받기 위한 취득세를 마련하는 등 다양한 전략을 계획할 수 있게 됩니다.

"상속재산 얼마까지 상속세가 안 나오는 건가요?"

우선 일괄공제 5억원에 배우자가 있으시다면 최소 5억원에서 최대 30억원까지 배우자상속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자녀 한 명당 5억원씩 공제해주는 자녀공제 개편에 대한 내용이 상속세 개편안에 올랐지만, 아직 통과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일괄공제 5억원과 기초공제 2억원에 자녀공제, 미성년공제, 연로자공제, 장애인공제 4가지 공제를 합산하여 계산한 것을 비교했을 때, 보통은 일괄공제 5억원이 더 큰 액수가 됩니다.

상속재산과 사전증여재산을 더한 것에서 주택임대차보증금, 근저당권, 신용대출 등 부채를 제하고 공제액수를 뺀 것이 상속세 과세표준이 됩니다.

해당 금액을 초과한다면 상속세가 발생하게 됩니다.

만약 자녀가 무주택자로 청약을 노리고, 포인트를 쌓고 있는 상황이라면 주택을 증여하시는 것은 고려해 보셔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확인해 보세요 ^^

https://youtu.be/fosL0k2Om_Q?si=yzu5EADca6LX-BDo

 

상속과 증여의 선택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황에 맞추어 신중히 고려해 보셔야 합니다.

혼자 판단이 어려우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